About: dbkwik:resource/BJd5P8h43MePMXiv17BGQA==   Sponge Permalink

An Entity of Type : owl:Thing, within Data Space : dbkwik.webdatacommons.org associated with source dataset(s)

AttributesValues
rdfs:label
  • 구도
rdfs:comment
  • 구도 갈문왕은 미추왕의 생부이다. 그는 김알지(金閼智)의 5대손이다. 김알지는 석탈해(昔脫解)의 양자가 되었고 김알지의 후손인 구도(仇道)는 백제와 벌인 여러 전투에서 혁혁한 공을 세워 공신이 되었다. 벌휴 이사금은 국토가 어느 임금 때보다 넓어졌으므로 군주(軍主)라는 벼슬을 새로이 만들고, 파진찬 구도(仇道)를 좌군주로, 일길찬 구수혜(仇須兮)를 우군주로 삼았다. 5년 봄 2월 백제가 모산성(母山城)58)을 공격하여 왔다. 파진찬 구도(仇道)에게 명해 출병하여 막았다. 백제가 원산향(圓山鄕·경북 예천)을 습격하고 부곡성(缶谷城·군위)을 에워싸니 신라장군 구도(仇道)가 막았다. 조분 이사금은 벌휴 이사금의 손자로, 골정 갈문왕(骨正葛文王)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구도 갈문왕(仇道葛文王)의 딸 옥모부인 김씨(玉帽夫人金氏)이고, 비는 내해 이사금의 딸 아이혜 부인(阿爾兮夫人)이다. 옥모부인(玉帽夫人)은 곧 조문국(召文國)의 왕녀인 운모 공주(雲帽公主)가 구도공(仇道公)에게 시집가서 낳은 사람이다.
dcterms:subject
abstract
  • 구도 갈문왕은 미추왕의 생부이다. 그는 김알지(金閼智)의 5대손이다. 김알지는 석탈해(昔脫解)의 양자가 되었고 김알지의 후손인 구도(仇道)는 백제와 벌인 여러 전투에서 혁혁한 공을 세워 공신이 되었다. 벌휴 이사금은 국토가 어느 임금 때보다 넓어졌으므로 군주(軍主)라는 벼슬을 새로이 만들고, 파진찬 구도(仇道)를 좌군주로, 일길찬 구수혜(仇須兮)를 우군주로 삼았다. 5년 봄 2월 백제가 모산성(母山城)58)을 공격하여 왔다. 파진찬 구도(仇道)에게 명해 출병하여 막았다. 백제가 원산향(圓山鄕·경북 예천)을 습격하고 부곡성(缶谷城·군위)을 에워싸니 신라장군 구도(仇道)가 막았다. 조분 이사금은 벌휴 이사금의 손자로, 골정 갈문왕(骨正葛文王)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구도 갈문왕(仇道葛文王)의 딸 옥모부인 김씨(玉帽夫人金氏)이고, 비는 내해 이사금의 딸 아이혜 부인(阿爾兮夫人)이다. 옥모부인(玉帽夫人)은 곧 조문국(召文國)의 왕녀인 운모 공주(雲帽公主)가 구도공(仇道公)에게 시집가서 낳은 사람이다. 첨해 이사금이 아들이 없어 나라 사람이 미추를 추대하였다. 미추 이사금이 왕위에 오르면서 가장 먼저 해야 할일은 아버지인 구도를 갈문왕(葛文王)에 봉하여 정통성을 확보하는 일이었다. 관례대로 죄수들을 크게 사면하고, 자기 아버지 구도를 갈문왕에 봉했다.264년 2월엔 직접 동쪽 지방을 순행하며 백성들과 함께 바다에 제사를 지냈다. 분류:신라의 왕족
Alternative Linked Data Views: ODE     Raw Data in: CXML | CSV | RDF ( N-Triples N3/Turtle JSON XML ) | OData ( Atom JSON ) | Microdata ( JSON HTML) | JSON-LD    About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W3C Semantic Web Technology [RDF Data] Valid XHTML + RDFa
OpenLink Virtuoso version 07.20.3217, on Linux (x86_64-pc-linux-gnu), Standard Edition
Data on this page belongs to its respective rights holders.
Virtuoso Faceted Browser Copyright © 2009-2012 OpenLink Softw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