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dbkwik:resource/_RwpwbkVsTVkiyJ90dOwdw==   Sponge Permalink

An Entity of Type : owl:Thing, within Data Space : 134.155.108.49:8890 associated with source dataset(s)

AttributesValues
rdfs:label
  • 가니메데주 시차
rdfs:comment
  • 가니메데주 시차(周視差, Ganymedian Parallax) 또는 세주시차(歲周視差)는 어떤 천체를 바라보았을 때 가니메데의 목성 주위 공전에 따라 생기는 시차를 뜻한다. 가니메데주 시차는 실제 시차의 절반, 즉 목성과 바라보는 천체를 잇는 직선, 그리고 가니메데와 바라보는 천체를 잇는 직선이 이루는 각이다. 거리가 먼 별일수록 가니메데주 시차는 작아진다. 모든 별까지의 거리를 가니메데주 시차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단 목성의 공전 진행 반향에 있는 별들에 대해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광년은 빛이 1년 동안 가야 하는 거리를 말하며, 9조 4,605억 300만km이다. 또한 1pc(파섹)은 연주 시차가 1초(″)에 해당하는 거리로,1pc는 3.26LY(광년)에 해당한다. 1fc(화섹,farsec)은 월주 시차가 1초(″)에 해당하는 거리로, 1fc는 41.243*3.26LY=134.4522광년에 해당한다. 1jc(자섹,jarsec)은 가니메데주 시차가 1초(″)에 해당하는 거리로, 1jc는 1136.273 광년에 해당한다.
dcterms:subject
dbkwik:ko.gravity/...iPageUsesTemplate
abstract
  • 가니메데주 시차(周視差, Ganymedian Parallax) 또는 세주시차(歲周視差)는 어떤 천체를 바라보았을 때 가니메데의 목성 주위 공전에 따라 생기는 시차를 뜻한다. 가니메데주 시차는 실제 시차의 절반, 즉 목성과 바라보는 천체를 잇는 직선, 그리고 가니메데와 바라보는 천체를 잇는 직선이 이루는 각이다. 거리가 먼 별일수록 가니메데주 시차는 작아진다. 모든 별까지의 거리를 가니메데주 시차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단 목성의 공전 진행 반향에 있는 별들에 대해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광년은 빛이 1년 동안 가야 하는 거리를 말하며, 9조 4,605억 300만km이다. 또한 1pc(파섹)은 연주 시차가 1초(″)에 해당하는 거리로,1pc는 3.26LY(광년)에 해당한다. 1fc(화섹,farsec)은 월주 시차가 1초(″)에 해당하는 거리로, 1fc는 41.243*3.26LY=134.4522광년에 해당한다. 1jc(자섹,jarsec)은 가니메데주 시차가 1초(″)에 해당하는 거리로, 1jc는 1136.273 광년에 해당한다.
Alternative Linked Data Views: ODE     Raw Data in: CXML | CSV | RDF ( N-Triples N3/Turtle JSON XML ) | OData ( Atom JSON ) | Microdata ( JSON HTML) | JSON-LD    About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W3C Semantic Web Technology [RDF Data] Valid XHTML + RDFa
OpenLink Virtuoso version 07.20.3217, on Linux (x86_64-pc-linux-gnu), Standard Edition
Data on this page belongs to its respective rights holders.
Virtuoso Faceted Browser Copyright © 2009-2012 OpenLink Softw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