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ertyValue
rdfs:label
  • 모용외
rdfs:comment
  • 모용외(慕容廆, 269년~333년) 오호십육국시대 전연의 시조이다. 선비족 모용부(慕容部)의 수장인 모용외는 서진을 따르면서 선비의 기타 부족과 항쟁을 벌였다. 모용외는 일대의 효웅이었다. (慕容?)는 5호 16국 시대 전연(前燕)을 세운 모용황(慕容?)의 아버지이자 실질적인 창업자다. 낙랑군의 왕준(王遵)이 장통을 설득하여 그 백성 1천여가(家)를 거느리고 모용외(慕容[廟-朝+鬼])에게 귀복(歸服)하였다. 이에 모용외는 (자기가 지배하는 영역 안에) 낙랑군을 설치하였다. 태강 6년(서기 285년) 모용괴가 부여를 습격하여 격파하자 왕인 의려(依慮)가 자살하고 나머지 무리들은 옥저로 망명했다. 중국 동진(東晋)에서는 선비족 모용외를 견제하려고, 중국의 장군들을 파견하여 의려의 아들인 의라(依羅)를 다시 세워 옥저(沃沮) 부근에 부여국을 재건하였다. 정주는 의려국이 도읍한 땅이다. 부여는 285년 선비족 모용외(慕容..)에 의하여 수도가 일시적으로 함락되었다.
  • 모용외(慕容廆, 269년~333년) 오호십육국시대 전연의 시조이다. 선비족 모용부(慕容部)의 수장인 모용외는 서진을 따르면서 선비의 기타 부족과 항쟁을 벌였다. 모용외는 일대의 효웅이었다. (慕容?)는 5호 16국 시대 전연(前燕)을 세운 모용황(慕容?)의 아버지이자 실질적인 창업자다. 낙랑군의 왕준(王遵)이 장통을 설득하여 그 백성 1천여가(家)를 거느리고 모용외(慕容[廟-朝+鬼])에게 귀복(歸服)하였다. 이에 모용외는 (자기가 지배하는 영역 안에) 낙랑군을 설치하였다. 태강 6년(서기 285년) 모용괴가 부여를 습격하여 격파하자 왕인 의려(依慮)가 자살하고 나머지 무리들은 옥저로 망명했다. 중국 동진(東晋)에서는 선비족 모용외를 견제하려고, 중국의 장군들을 파견하여 의려의 아들인 의라(依羅)를 다시 세워 옥저(沃沮) 부근에 부여국을 재건하였다. 정주는 의려국이 도읍한 땅이다. 부여는 285년 선비족 모용외(慕容..)에 의하여 수도가 일시적으로 함락되었다. 고구려 봉상왕 (烽上王) 때는 선비족인 전연(前 燕)의 모용외 ( 慕 容 廆)의 침입을 두 차례 받는 등 위기를 격었다.
dcterms:subject
dbkwik:ko.gravity/property/wikiPageUsesTemplate
dbkwik:ko.history/property/wikiPageUsesTemplate
abstract
  • 모용외(慕容廆, 269년~333년) 오호십육국시대 전연의 시조이다. 선비족 모용부(慕容部)의 수장인 모용외는 서진을 따르면서 선비의 기타 부족과 항쟁을 벌였다. 모용외는 일대의 효웅이었다. (慕容?)는 5호 16국 시대 전연(前燕)을 세운 모용황(慕容?)의 아버지이자 실질적인 창업자다. 낙랑군의 왕준(王遵)이 장통을 설득하여 그 백성 1천여가(家)를 거느리고 모용외(慕容[廟-朝+鬼])에게 귀복(歸服)하였다. 이에 모용외는 (자기가 지배하는 영역 안에) 낙랑군을 설치하였다. 태강 6년(서기 285년) 모용괴가 부여를 습격하여 격파하자 왕인 의려(依慮)가 자살하고 나머지 무리들은 옥저로 망명했다. 중국 동진(東晋)에서는 선비족 모용외를 견제하려고, 중국의 장군들을 파견하여 의려의 아들인 의라(依羅)를 다시 세워 옥저(沃沮) 부근에 부여국을 재건하였다. 정주는 의려국이 도읍한 땅이다. 부여는 285년 선비족 모용외(慕容..)에 의하여 수도가 일시적으로 함락되었다. 고구려 봉상왕 (烽上王) 때는 선비족인 전연(前 燕)의 모용외 ( 慕 容 廆)의 침입을 두 차례 받는 등 위기를 격었다. 그가 죽자 아들인 모용황이 왕위를 계승하였으며, 후일 열조(烈祖)에 의해 고조(高祖) 선무제(宣武帝)로 추존되었다.
  • 모용외(慕容廆, 269년~333년) 오호십육국시대 전연의 시조이다. 선비족 모용부(慕容部)의 수장인 모용외는 서진을 따르면서 선비의 기타 부족과 항쟁을 벌였다. 모용외는 일대의 효웅이었다. (慕容?)는 5호 16국 시대 전연(前燕)을 세운 모용황(慕容?)의 아버지이자 실질적인 창업자다. 낙랑군의 왕준(王遵)이 장통을 설득하여 그 백성 1천여가(家)를 거느리고 모용외(慕容[廟-朝+鬼])에게 귀복(歸服)하였다. 이에 모용외는 (자기가 지배하는 영역 안에) 낙랑군을 설치하였다. 태강 6년(서기 285년) 모용괴가 부여를 습격하여 격파하자 왕인 의려(依慮)가 자살하고 나머지 무리들은 옥저로 망명했다. 중국 동진(東晋)에서는 선비족 모용외를 견제하려고, 중국의 장군들을 파견하여 의려의 아들인 의라(依羅)를 다시 세워 옥저(沃沮) 부근에 부여국을 재건하였다. 정주는 의려국이 도읍한 땅이다. 부여는 285년 선비족 모용외(慕容..)에 의하여 수도가 일시적으로 함락되었다. 고구려 봉상왕 (烽上王) 때는 선비족인 전연(前 燕)의 모용외 (慕容廆)의 침입을 두 차례 받는 등 위기를 격었다. 그가 죽자 아들인 모용황이 왕위를 계승하였으며, 후일 열조(烈祖)에 의해 고조(高祖) 선무제(宣武帝)로 추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