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ertyValue
rdfs:label
  • 나운규
rdfs:comment
  • 춘사 나운규는 함경북도 회령시에서 출생했으며 1920년 독립군 지도자인 홍범도 장군의 부대에서 활동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나운규 1924년 일본인 관리하의 '조선 키네마사'에 연구생으로 입사하여 윤백남 감독의 《운영전》에 가마꾼으로 출연하였다. 《농중조》라는 작품에 출연하여 배우로서 명성을 떨쳤다. 1926년 《아리랑》을 제작함으로써 우리 나라 영화계의 선구자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 작품은 나운규 자신이 각본을 쓰고 감독과 주연까지 겸하였는데, 여기에서 그는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였다. 이후 영화계의 중심이 되어 많은 작품을 내고 한국 영화의 새로운 개혁을 시도하여 공헌하였다. 작품으로 《금붕어》, 《들쥐》, 《벙어리 삼룡》, 《오몽녀》 등이 있다. 그러나 아리랑의 경우 나운규가 감독한 영화가 아니라는 견해가 있다. 영화학자인 조희문은 씨네 21 1997년 8월 19일자 기사에서 아리랑은 나운규가 아니라, 쓰모리 슈이치(또는 김창선)가 감독했으며, 나운규가 제작한 영화는 <풍운아>와 <금붕어> 두편이었다고 주장했다.
dcterms:subject
dbkwik:ko.film/property/wikiPageUsesTemplate
abstract
  • 춘사 나운규는 함경북도 회령시에서 출생했으며 1920년 독립군 지도자인 홍범도 장군의 부대에서 활동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나운규 1924년 일본인 관리하의 '조선 키네마사'에 연구생으로 입사하여 윤백남 감독의 《운영전》에 가마꾼으로 출연하였다. 《농중조》라는 작품에 출연하여 배우로서 명성을 떨쳤다. 1926년 《아리랑》을 제작함으로써 우리 나라 영화계의 선구자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 작품은 나운규 자신이 각본을 쓰고 감독과 주연까지 겸하였는데, 여기에서 그는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였다. 이후 영화계의 중심이 되어 많은 작품을 내고 한국 영화의 새로운 개혁을 시도하여 공헌하였다. 작품으로 《금붕어》, 《들쥐》, 《벙어리 삼룡》, 《오몽녀》 등이 있다. 그러나 아리랑의 경우 나운규가 감독한 영화가 아니라는 견해가 있다. 영화학자인 조희문은 씨네 21 1997년 8월 19일자 기사에서 아리랑은 나운규가 아니라, 쓰모리 슈이치(또는 김창선)가 감독했으며, 나운규가 제작한 영화는 <풍운아>와 <금붕어> 두편이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