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ertyValue
rdfs:label
  • 거대충돌 가설
rdfs:comment
  • [[그림:Big Slash.gif|200px|right|thumb|지구의 L5점에서 테이아가 생겨난 뒤 지구로 끌려 와 부딪히는 과정을 애니메이션으로 나타낸 것. 애니메이션의 재생 단위는 1년으로, 지구는 매년 같은 시각에 같은 자리에 돌아와 있으므로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표현되어 있다. 남극에서 바라본 모습.]] 거대충돌 가설 또는 빅 스플래시는 달의 생성을 설명해 주는 과학적 가설들 중 현재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으로, 젊은 지구와 화성 정도 질량의 '테이아' 또는 '오르페우스', '헤파에스투스'라고 불리는 물체가 충돌하여 달이 생겨났다는 것이다. 테이아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달의 여신 셀레네를 낳은 거신족 티탄의 이름이다. 이 가설은 1974년 위성에 관한 학술 회의에서 최초로 제기되었으며 이후 1975년 윌리엄 케니스 하트먼과 도널드 R. 데이비스가 이카루스에 이를 게재하였다.
dcterms:subject
제목
  • An impact origin of the Earth-Moon system
  • Origin of the Earth and Moon
  • Thermal and magmatic evolution of the Moon
발행년도
  • 2000
  • 2006
  • 1998-12-31
dbkwik:ko.gravity/property/wikiPageUsesTemplate
출판사
  • American Geophysical Union
  • Planetary Science Research Discoveries
  • University of Arizona Press, Tucson
저자
  • Canup, R. M.; Asphaug, E.
발행일자
  • 2001
BookTitle
  • Abstract #U51A-02
DOI
  • 10.213800
Volume
  • 60
url
  • 365
  • 555
  • Charles Shearer and 15 coauthors
  • G. Jeffrey Taylor
  • R. Canup and K. Righter, editors
저널
  • Reviews in Mineralogy and Geochemistry
abstract
  • [[그림:Big Slash.gif|200px|right|thumb|지구의 L5점에서 테이아가 생겨난 뒤 지구로 끌려 와 부딪히는 과정을 애니메이션으로 나타낸 것. 애니메이션의 재생 단위는 1년으로, 지구는 매년 같은 시각에 같은 자리에 돌아와 있으므로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표현되어 있다. 남극에서 바라본 모습.]] 거대충돌 가설 또는 빅 스플래시는 달의 생성을 설명해 주는 과학적 가설들 중 현재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으로, 젊은 지구와 화성 정도 질량의 '테이아' 또는 '오르페우스', '헤파에스투스'라고 불리는 물체가 충돌하여 달이 생겨났다는 것이다. 테이아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달의 여신 셀레네를 낳은 거신족 티탄의 이름이다. 이 가설은 1974년 위성에 관한 학술 회의에서 최초로 제기되었으며 이후 1975년 윌리엄 케니스 하트먼과 도널드 R. 데이비스가 이카루스에 이를 게재하였다.